logo
성공 사례 큐밋 가이드

큐밋 인사이트 - 기술 Blog

[카카오]리소스 줄이는 고효율 QA 테스트 수행 방법

2025.05.23

QA와 테스트의 차이점


  • 테스트< QA
  • 테스트: Test Case 설계 및 수행 등의 단순한 TEST 활동
  • QA: 단순한 TEST를 넘어, 서비스 기획부터 개발, 출시까지의 전 과정에서 잠재적인 품질 리스크를 식별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

📍 [기술 포스팅 원문보기] 테스트는 누구나 할 수 있지만, QA는 준비된 자만이 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QA 테스트 방법론


ISO/IEEE 29119-2 표준의 동적 테스트 프로세스가 가장 널리 활용


효율적인 QA 전략


  • 현실적으로는 QA 활동을 수행하다 보면, 예기치 못한 변수 발생에 대해서 대처하는 방안이 필요 (예: TEST계획에 포함되지 않는 요구 사항들이 추가, 예상보다 많은 테스트 기간 필요 등)
  • ISO/IEEE 29119-2 표준의 동적 테스트 프로세스(Dynamic Test Processes) 바탕으로 ➡️TSET 전략선택 +이에 부합하는 상세 계획 +프로젝트 단위별 변경점이 발생 시 테스트 계획 유연하게 수정/고도화


고효율 위한 테스트 방법론


  • 리스크 기반 테스팅: 프로젝트별로 리스크 아이템을 식별하고, 내부 기준에 따라 중요도를 평가하여 테스트 우선순위를 부여합니다. 이를 통해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중요한 기능에 집중할 수 있습니다.​

  • RST(Rapid Software Testing) 방법론: 제한된 시간과 자원 내에서 최대한의 테스트 효과를 얻기 위한 방법론으로, 빠르고 유연한 테스트를 지향합니다.​

  • 테스트 자동화: 반복적인 테스트를 자동화하여 시간과 인적 자원을 절감하고, 테스트 커버리지를 확보합니다.


👉 [성공사례] QA를 도입하고, 진짜 개발이 시작되었습니다.

👉 [기술 블로그] 리소스 줄이는 고효율 QA테스트 수행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