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tate of SW Quality 2025 Report _Part 2
이 보고서는 2025년 Katalon에서 발행한 품질 보증(QA)의 현재 상태와 미래 전망을 다룹니다. 1,500명 이상의 품질 엔지니어 및 리더의 설문 기반으로, 자동화, AI, 협업, 기술 리더십이 주요 주제입니다.
👉 Chapter 1~4 보러가기(한글)
👉 보고서 원문 다운받기
Chapter 5 요약: 속도와 품질, 둘 다 잡기 위한 현대 개발 환경의 전략
🎯 핵심 질문
"빠르게 배포하면서도, 높은 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가?" 이 장은 속도(Speed)와 품질(Quality) 사이의 균형을 맞추는 조직의 전략을 분석합니다. 고속 개발(Agile, DevOps, CI/CD) 환경에서도 신뢰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릴리스하는 것이 핵심 과제입니다.
⚖️ 주요 인사이트: 속도 vs 품질의 긴장 관계

✅ 고성능 팀의 속도-품질 균형 전략
- Continuous Testing (CT) : 개발 단계별 자동화 테스트 수행 → 결함 조기 발견
- CI/CD 통합: 코드 커밋 시마다 자동 테스트 실행 → 빠르고 안정적인 릴리스
- 테스트 병렬화: 멀티 환경에서 테스트 병렬 실행 → 테스트 시간 단축
- 품질 메트릭스 정량화: 품질을 수치화해 목표와 실제 간 격차 추적
- 릴리스 기준 정의: "품질 기준 충족 시에만 배포"라는 원칙 적용
📊 수치로 보는 트렌드
- CI/CD와 테스트 자동화 통합한 팀: 48%
- 지속적 테스트(CT) 적용 중인 팀: 40%
- 고성숙도 팀의 릴리스 실패율 감소: 24% 감소
- QA 메트릭스 기반 의사결정 실시율: 36% (전년 대비 증가)
💬 현업의 목소리
“우리는 속도를 추구하되, 실패를 감수하지 않습니다. 테스트 자동화와 품질 기준이 동시에 작동합니다.” – 스타트업 QA 리더
🧠 속도와 품질을 동시에 잡는 조직의 공통점
- 테스트와 QA가 개발 주기 전체에 내장되어 있음
- 자동화와 수동 테스트가 상호보완적으로 구성
- 실패를 빠르게 감지하고 릴리스 파이프라인을 자동 차단하는 메커니즘 보유
- 모든 팀원이 품질을 책임지는 문화 조성
🚦 한눈에 보는 핵심 전략 요약

✅ 결론
“속도와 품질은 반대되는 개념이 아니다. 지속적 테스트와 자동화 전략이 있다면, 두 마리 토끼를 충분히 잡을 수 있다.”
👉[ QA 아웃소싱 성공사례 ] QA 도입하고, 진짜 개발이 시작되었습니다.
Chapter 6 요약: 미래 QA를 위한 리더십과 기술 역량
🎯 핵심 주제
"미래형 QA 조직은 어떤 리더십과 스킬셋을 갖추고 있어야 하는가?" 이 장은 QA 리더와 팀원들이 미래에 필요한 기술, 사고방식, 커리어 성장 전략을 다룹니다.
🧭 QA 리더의 핵심 역할 변화

👤 성공적인 QA 리더십의 3대 특징
- 멘토십 중심의 리더십: 직원이 더 빠르게 성장하도록 돕는 리더, 멘토가 있는 QA 인력은 25% 더 빠른 커리어 발전 경험
- 커뮤니케이션과 영향력: 제품, 개발, 운영과의 소통 능력이 핵심, 품질 목표를 조직 전체에 내재화시킬 수 있어야 함
- 기술 겸비형 리더: 테스트 자동화, CI/CD, AI 활용 능력 보유, 도구에 의존하지 않고 전략을 주도함
📈 QA 경력 성장 경로 설계

💡 QA 전문가들이 꼽은 필수 소프트 스킬
- 커뮤니케이션 능력: 개발·운영 팀과 협업할 수 있어야 함
- 문제 해결 능력: 버그 원인 분석 및 리스크 관리
- 영향력: QA 목표를 제품 방향성과 연결시키는 힘
- 학습 민첩성: 빠르게 변하는 도구와 기술을 익히는 능력
🧠 실무자의 한마디
“훌륭한 테스터는 단순히 오류를 찾는 사람이 아니라, 제품의 성공 가능성을 높이는 전략가다.” – QA 디렉터, 글로벌 SaaS 기업
🎓 조직이 해야 할 일: QA 인재 성장 환경 제공
- 정기적 멘토링 프로그램 운영
- 기술뿐 아니라 리더십 역량을 키울 수 있는 경력 로드맵 제공
- QA 팀이 비즈니스 가치에 기여하도록 연결
✅ 결론
“미래의 QA 성공은 도구나 자동화가 아니라, 사람과 리더십에서 시작된다.”
👉 [일반] SW QA란 무엇인가?
Chapter 7 요약: QA를 전략적 성장 엔진으로 만들기
🎯 핵심 주제
과거에는 QA가 단순한 “문제 탐지 도구”로 여겨졌다면, 지금은 비즈니스 가치 창출의 핵심 자산으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품질은 더 이상 개발의 마지막 단계가 아니다. 제품 전략의 중심이다.”
📈 데이터로 보는 전략적 QA의 효과: QA전략 수준 높은 조직의 성과
- 고객 만족도: +32% 상승
- 운영 비용: -24% 절감
- 제품 출시 속도: 11% 더 빠름
- 직원 이직률: 20% 낮음
🧩 전략적 QA 조직의 3대 특징
- 품질 문화가 전사에 내재됨: QA는 단독 기능이 아니라, 모든 부서의 책임 영역으로 확산, “QA = 제품의 신뢰성”이라는 인식 정착
- QA 리더가 의사결정 테이블에 참여: 제품 출시 일정, 고객 요구사항, 기능 우선순위 결정에 QA 리더가 참여, 단순 보고자(reporter)가 아닌 전략 참여자
- QA 데이터가 비즈니스 인사이트로 연결: 테스트 커버리지, 버그 빈도, 사용자 피드백 등을 기반으로 제품 투자 방향 결정
🧠 QA가 전략적 역할을 하기 위한 전제 조건
- 자동화 기반: 반복 작업은 자동화되어 있어야 함
- 데이터 기반 사고: 수치로 품질 상태를 설명할 수 있어야 함
- 협업 문화: Dev, Ops, PM, QA가 동일한 목표 공유
- AI 도입: 예측적 품질 관리 가능성 확보
- KPI 정렬: QA 목표와 비즈니스 KPI가 정렬되어야 함 (예: 고객 이탈률, CS 비용 등과 연계)
💬 현업 사례
“우리는 QA 리포트를 마케팅과 고객 지원팀과 공유합니다. 제품에 무슨 문제가 있었는지, 어떻게 대응했는지 공유할 때, 고객 신뢰도가 더 높아졌습니다.” – 글로벌 SaaS QA 리더
📊 전략적 QA의 효과 사례 요약

✅ 결론
“앞으로 QA는 단순한 ‘품질 보증’이 아니라, 제품 신뢰와 비즈니스 성장을 주도하는 핵심 부서가 될 것이다.”
Chapter 8 요약:“Let’s Have Some Fun” – QA 커뮤니티의 유쾌한 면
😊 목적
이 장은 기술적인 내용에서 벗어나 QA 직군의 인간적인 순간들과 유머, 공감 요소를 통해 QA 업무의 즐거움과 도전을 돌아보는 공간입니다.
🎭 커뮤니티 설문: 가장 공감되는 QA 유머
QA 전문가들에게 “테스트하면서 겪은 가장 웃긴/황당한 순간”을 물었을 때 나온 베스트 사례:
- “왜 내 버그는 개발자가 보기 전엔 재현이 안 될까?”
- "테스트 환경에서만 발생하는 버그는 유령이다."
- "릴리스 직전 갑자기 사라지는 QA 담당자 = 전설의 QA 회피술사"
- "모든 테스트가 통과됐지만, 실제 앱은 안 열리는 경우 😅"
💬 QA들의 공감 100% 대사
- 테스트 자동화가 깨짐: “어제까지 잘 됐는데요…?”
- 릴리스 직전 야근 중: “이건 내가 테스트한 버전이 아닌데요…”
- 버그 보고서를 무시당할 때: “그거 기능입니다.”
🧠 커뮤니티가 꼽은 “QA 인생 명언”
- "QA는 단순히 오류를 찾는 사람이 아니라, 문제를 미리 막는 사람이다."
- "완벽한 소프트웨어는 없다. 하지만 완벽에 가까이 가는 건 QA의 몫이다."
- "QA가 없었다면, 우리는 매일 제품을 리셋하고 있었을 것이다."
🥳 QA 커뮤니티의 긍정 에너지
- 테스터로서의 자부심: “내가 발견한 버그 하나가 고객 10만 명의 불편을 막았다.”
- 팀워크의 즐거움: “매일 전쟁 같지만, 함께 웃을 수 있어 계속한다.”
- 지속적 학습: “매일 배우는 게 있어서, 지루할 틈이 없다.”
✅ 결론
“QA는 단순히 테스트가 아니다. 제품, 사람, 비즈니스에 대한 깊은 책임과 즐거움이 공존하는 직업이다.”이 장은 QA가 단지 버그 찾는 기술자가 아닌, 비즈니스와 사용자 경험을 지키는 히어로라는 자긍심을 강조하며 마무리됩니다.
📚 전체 요약 한 줄 정리
“The State of Software Quality 2025”는 기술, 사람, 전략이 균형을 이룰 때 QA가 진정한 비즈니스 성장 동력이 된다고 강조합니다.
👉 전문 QA 아웃소싱 팀 알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