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객 후기 - 클라이언트 후기
[QA성공사례] 아웃소싱 도입 후, 진짜 개발이 시작됐어요
리드워크는 최근 큐밋(Q-Meet)을 통해 전문 QA를 도입하며, 개발팀의 품질관리 체계를 획기적으로 개선했습니다. 이전에는 QA 인력이 따로 없던 개발 환경에서 어떤 변화가 있었을까요? 이번 글에서는 QA 도입 전후의 변화를 실제 수치와 사례로 살펴보기 위해, 리드워크 개발팀의 김락영 리더와의 인터뷰를 전해드립니다.
안녕하세요. IT 플랫폼 업계에서 개발자로 근무 중인 김락영입니다.
저희 서비스는 빠른 기능 배포와 반복적인 업데이트가 필수였지만, QA 전담 인력이 없어서 일부 문제가 반복적으로 발생하고 있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큐밋'이라는 자사 플랫폼 개발하면서, 외부 QA 도입을 통해 안정적인 검증 체계를 갖추고자 테스트를 도입하게 되었습니다.
가장 큰 변화는 프로세스 구축이라고 생각해요. 단순히 버그 테스트만 하는 게 아니라, 요구사항 분석, 시나리오 설계, 사전 리스크 분석까지 QA 엔지니어분이 담당해주면서 개발팀과 한 팀처럼 협업하게 됐습니다. 특히 주요 기능 배포 전 사전 테스트로 예상 버그를 미리 잡을 수 있었습니다. 예전엔 "왜 또 버그야?" 였는데, 지금은 "이건 QA에서 이미 잡았네!"가 더 익숙해졌죠.
확실히 있었죠. QA 도입 전(2020년 '겟아이즈' 플랫폼 출시)과 QA 도입 후(2025년 '큐밋' 출시)의 결함 발생률을 비교하면 차이가 뚜렷합니다. 배포 후, 한 달 간 발생한 버그 리포트 수가 평균 70%이상 감소했고, 긴급 수정 빈도도 월 4회에서 월 1회 이하로 줄었어요. 무엇보다 개발자들의 피로도가 낮아졌습니다.
항목 | QA 미도입 (2020년 겟아이즈 오픈 사례) | QA 도입 후 (2025년 큐밋 오픈 사례) | |
QA 리소스 | 개발자가 테스트 병행 | 외부 QA 파트너가 전담 | |
QA 문서화 | 없음 | 테스트 시나리오, 결과 리포트 문서 제공 | |
배포 안정성 | 배포 후 긴급 수정 多 | QA 진행 후 배포, 오류 발생률 70% 감소 | |
배포 1달간 결함 수 | P1 | 30개 | 3개 |
P2 | 57개 | 9개 | |
P3 | 90개 | 34개 | |
P4 | 74개 | 22개 | |
P5 | 5개 | 0개 | |
합계 | 256개 | 68개 |
걱정했던 것과 달리, 외부 QA라고 해서 ‘외부인’ 같은 느낌이 없었어요. 팀 내부 일원처럼 스스로 테스트 항목을 정의하고, 개발자와 수시로 커뮤니케이션하며 일해주셨거든요. QA 매니저가 프로젝트 전반을 이해하고 팀 일정과 우선순위에 맞춰 리소스를 조율해줬습니다. 테스트 결과 보고서 작성부터 사소한 버그 추적까지 꼼꼼히 진행해주셔서, 개발자들은 코드 품질에만 집중할 수 있었습니다.
네, 무조건이요. 초기엔 "QA 외주로 해도 괜찮을까?" 하는 걱정도 있었지만, 지금은 “진작 했으면 더 좋았을 걸!”이란 생각이 들었어요. 이제는 업데이트 될 때 마다, QA를 활용하고 있고요! 저희처럼 빠르게 업데이트 및 고도화 되는 서비스 환경에서 선택적으로 또 외부 QA를 우리 회사 직원처럼 협업 할 수 있다는 것이 개발자로서 너무 도움이 되었습니다.
리드워크의 사례는 QA가 단순한 ‘테스트’가 아니라, 개발 일정 안정화와 사용자 만족도, 팀 생산성을 높힐 수 있는 해결방법이 되었습니다. 스타트업이나 IT팀이라도, 내부에 QA 전담 인력을 모두 둘 필요는 없습니다. 검증된 QA 파트너와 함께라면, 소규모로도 품질관리 시스템을 빠르게 구축할 수 있을 거예요!☺️
전문 QA 인력 2,000명 이상 등록, SW협회 인증 파트너사 입점해 있어요!
당신의 개발팀에도 QA가 필요하다면? 지금 큐밋에서 간편하게 테스트 전문가를 매칭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