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큐밋 인사이트 - QA 아웃소싱

외주 소프트웨어 테스트 도입 전 필수 체크리스트 10가지

2025.06.12

QA 아웃소싱을 고민하는 개발사라면 꼭 읽어보세요


"버그는 점점 늘어나는데 인력을 뽑을 여유는 없고…" 많은 개발팀과 QA팀이 겪는 공통된 고민입니다. 이럴 때 외부 QA 도입은 매우 유효한 선택이 될 수 있지만, 어떻게, 어떤 회사를, 어떤 방식으로 선택해야 할지 막막하신가요? 이 글에서는 외부 소프트웨어 품질검증 도입 시 확인해야 할 핵심 체크리스트를 정리해드립니다. 처음 아웃소싱을 시도하는 기업도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실전 가이드입니다.



외부 QA 도입 전 체크리스트 (10가지 항목)

1. 어떤 유형의 테스트가 필요한가요?

  1. 기능/호환성/API/성능/자동화/V&V 테스트, UI/UX 검증 등 → 서비스의 현재 상태와 검증 목적을 명확히 정리하세요.

2. SW 검증 범위와 우선순위는?

  1. 전체 테스트가 필요한지, 핵심 기능 중심인지 → 예산과 기간에 따라 우선순위 기반 테스트 전략이 필요합니다.

3. 일정과 릴리즈 주기는?

  1. 주간 배포? 월간 배포? → 외부 QA 파트너가 이 일정에 맞춰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어야 합니다.

4. 테스트 환경/기기 요구 사항은?

  1. iOS/Android, 특정 브라우저, 다양한 해상도 등 → 다양한 디바이스 환경을 지원하는지 꼭 확인해야 합니다.

5. 보고서 포맷과 이슈 관리 방식은?

  1. 결과는 어떤 형식으로 받고 싶은가요? (Excel vs QA툴(JIRA, TestRail 등) vs 고객사 포맷)/ 이슈 등급 분류나 버그 재현 정보는 어떤 기준으로 받을지 합의해야 합니다. → 정확하고 재현 가능한 버그 리포트 방식이 있는지 체크하세요.

6. 커뮤니케이션 방식은?

  1. 슬랙/노션/메일/카톡 등 실시간 협업 도구 사용 여부/ 커뮤니케이션 담당자 또는 PM이 지정되어 있는가? → 협업 툴과 커뮤니케이션 속도가 퀄리티에 직접 영향을 줍니다.

7. 외주사의 수행 사례는?

  1. 유사한 서비스, 앱, 플랫폼의 수행 경험이 있는가? → 포트폴리오나 고객사 레퍼런스가 명확한 업체를 선택하세요.

👉 [대표 QA 기업 수행 사례 보러가기]

8. 보안 정책은?

  1. 테스트 계정, 개발 버전 접근, 데이터 접근에 대한 보안 조치 여부 → 보안서약서, NDA, IP보호 조항이 포함되어야 합니다.

9. 외주사 인력의 역량은?

  1. 경력직 엔지니어인지, 유사 수행 이력이 있는지? → 테스트 품질은 결국 ‘사람’이 좌우합니다.

10. 예산 및 계약 구조는?

  1. 건별/월 단위/정액제 기준 등 예상 테스트 범위와 예산을 맞춰 가장 합리적인 금액을 선택하세요. →명확한 계약 조건이 외주 분쟁을 예방합니다.



외부 QA 선택 시 좋은 회사 고르는 TIP

체크 항목

내용

포트폴리오

유사한 서비스 수행 경험 확인

대응 속도

요청부터 테스트 시작까지 리드 타임

커뮤니케이션

실시간 피드백 가능한 담당자 운영 여부

QA 툴 사용여부

JIRA, TestRail 외 가능 여부

결과물 퀄리티

상세한 버그 리포트, 재현 영상, 로그 첨부

계약 유연성

단기, 장기 프로젝트 모두 대응 가능한지



QA 아웃소싱은 선택이 아닌 비지니스 성공 전략 입니다.

리소스가 부족한 상황, 자동화가 어려운 초기 단계,다양한 디바이스 환경에서 검증이 필요한 상황이라면 "아웃소싱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닌, 비지니스 성공 전략입니다." 체크 리스트를 기준으로 귀사에 딱 맞는 파트너를 찾아, 제품 품질과 개발 속도를 함께 잡아보세요.


👉 프로젝트 무료 견적 받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