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큐밋 인사이트 - QA 아웃소싱

소프트웨어 QA 아웃소싱 필수 용어 10가지 정리

2025.08.12

QA 아웃소싱 필수 용어

소프트웨어 개발이나 IT 프로젝트에서 자주 듣게 되는 말이 소프트웨어 품질보증(QA)입니다.

핵심 개념과 자주 쓰이는 QA 용어를 알아두면 아웃소싱 프로젝트에 참여하거나 협업해야 할 때, 소통이 원활해지고 전체 프로젝트의 품질도 높일 수 있답니다 😊

이 글에서는 QA 아웃소싱 현장에서 자주 등장하는 중요한 용어들을 하나하나 자세히, 그리고 쉽게 풀어서 설명해 드릴게요.


🔵QA(Quality Assurance)란?

QA는 '품질 보증'이라는 뜻으로, 제품이나 서비스가 요구된 품질 기준을 충족하는지 확인하고 이를 보장하는 체계 적인 활동을 의미합니다. 단순한 테스트 수행을 넘어, 계획 수립부터 테스트 설계, 수행, 결함 관리, 결과 분석, 개선 제안까지 아우르는 전반적인 품질 관리 프로세스를 포함합니다.


🔵QA 아웃소싱 업무 흐름은 이렇게 진행돼요

QA 아웃소싱이 실제로 어떻게 진행되는지 간단한 흐름으로 볼까요? (기능 테스트, 호환성 테스트 기준)

1. 테스트 요청 / 미팅 진행(온라인, 오프라인)

2. 테스트 계획 수립 (기획서/요구사항 분석 - 공수 체크(TC 설계 갯수, TEST 공수, 투입 엔지니어 수/ 등급, 견적서 요청)

3. 테스트 준비 및 설계 (엔지니어 투입, 계약 체결, 업무 분석, 테스트 케이스 작성, 테스트 환경 구축)

4. 테스트 수행 (실행 → 결과 비교 → 이슈 확인 → 이슈 분석 및 보고 → 결과 기록)

5. 테스트 완료(결과보고서, 개선활동제안, 인수인계 보고서)

✅이후 운영 혹은 종료로 전환


👉️[QA 엔지니어 인터뷰] HW부터 앱까지, 모빌리티 인프라 검증 노하우



💡아래의 개념들은 실제 QA 아웃소싱 진행이나 실무 미팅 시 꼭 등장하는 용어예요!

1. V모델(V-Model)

V모델은 소프트웨어 개발과 테스트를 계획적으로 함께 진행하는 구조를 보여주는 모델이에요. 개발과 테스트가 나란히 진행되는 구조입니다. 개발이 끝날 때쯤에는 테스트도 완성되는 형태죠. 개발과 동시에 테스트를 준비할 수 있어 품질을 미리 확보할 수 있어요.

예: 로그인 기능 설계 단계 → 동시에 로그인 테스트 시나리오도 준비



2. 검증 범위⚙️

QA에서 "검증 범위"는 어떤 항목들을 테스트할지 의미해요. 대표적으로 다음과 같은 테스트들이 있어요.

  1. 기능 테스트: 버튼, 입력창 등 기능이 정상 작동하는지 확인
  2. 호환성 테스트: 다양한 브라우저, 기기, OS에서 잘 동작하는지 확인
  3. API 테스트: 서버와 앱이 데이터를 잘 주고받는지 확인
  4. 성능 테스트: 시스템이 빠르게 잘 작동하는지 측정
  5. V&V 테스트: Verification: 설계서 대로 잘 만들었는가? Validation: 사용자 요구사항을 충족하는가?



3. 도메인🌐

QA에서 "도메인"은 테스트 대상 서비스의 산업군 또는 분야를 의미해요. 도메인마다 테스트 관점이 달라지기 때문에, 도메인을 잘 이해하면 테스트 전략도 훨씬 효율적으로 세울 수 있어요.

  1. 구분: 웹(크롬, 사파리), 앱(안드로이드, iOS 및 버전), 금융/증권, 자동차/전기차, 이머커스(쇼핑), AI, IOT, 항공, 게임 외



4. 공수 산정🖩

공수 산정은 QA에 필요한 시간과 인력을 계산하는 과정이에요. QA에서는 다음과 같은 요소를 기준으로 공수를 예측합니다.

  1. 피그마, 기획서, 화면설계서: 이런 자료들이 잘 준비되어 있으면 공수 예측이 훨씬 정확해져요.
  2. 기능 복잡도: 복잡한 기능일수록 테스트하는 데 시간이 더 걸려요.
  3. 도메인 특성: 예를 들어 금융 앱은 보안 검증도 필요하므로 공수가 더 들어갈 수 있어요.

📌 참고로, 공수는 일정과 예산을 정하는 데 아주 중요하답니다!



5. 맨먼스 (Man-Month)👨‍🔧

맨먼스는 QA에서 자주 쓰는 단위로, 1명의 인력이 한 달 동안 일할 수 있는 양을 의미해요. 예를 들어, 2맨먼스는 1명이 2개월 일하거나, 2명이 1개월 동안 함께 일하는 경우예요.

활용: QA 견적서나 일정 계획을 짤 때 이 단위로 인력을 계산해요.



6. 엔지니어 등급👩🏼‍💻

QA 아웃소싱에서는 투입되는 인력을 경력과 능력에 따라 등급으로 나눠요

  1. 초급: QA 경력 1~3년 (단순 테스트 수행 중심)
  2. 중급: 4~7년 (시나리오 작성, 커뮤니케이션 능력 보유)
  3. 고급: 8~11년 (테스트 전략 수립 가능)
  4. 특급: 12년 이상 (전체 QA 프로젝트 리딩 가능)

✅ 각 등급에 따라 인건비와 맡을 수 있는 역할이 다르기 때문에 견적 산정 시 매우 중요합니다!

✅ 해당 엔지니어 등급은 회사별, 분야에 따라서 기준이 다를 수 있습니다.


👉️QA 아웃소싱 무료 견적 받기



7. 테스트 케이스와 테스트 시나리오📄

  1. 시나리오: 여러 개의 테스트 케이스를 사용자의 실제 사용 흐름에 따라 묶은 것이에요. 이런 흐름대로 테스트를 수행하면 실제 사용자 경험에 가까운 검증이 가능해요.

(예시: 회원가입→로그인→상품검색 →장바구니 담기→결제→주문완료 확인)

  1. 케이스: 각각의 단일 조건 테스트 (구성요소: 테스트 항목, 테스트 방법, 예상 결과 포함)



8. 테스트 커버리지📊

테스트 커버리지는 전체 시스템 중 얼마나 많은 부분을 테스트했는지 비율로 나타낸 수치예요. 테스트 커버리지에는 기준에 따라 코드 기반 커버리지, 요구사항 커버리지, 기능 기반 커버리지 등으로 종류를 나눌 수 있습니다.

  1. 예: 전체 기능 100개 중 90개를 테스트했다면 커버리지는 90%

✅ 너무 낮으면 테스트 누락 위험이 있고, 너무 높다고 해서 항상 완벽하다는 의미는 아니에요. 중요한 기능 위주로 커버리지를 올리는 게 핵심입니다.



9. 결함 관리 시스템🐞

테스트 도중 발견된 버그(결함)를 기록하고 관리하는 시스템이에요.

  1. 대표 도구: 지라(JIRA), 레드마인(Redmine) 외

✅ 적합한 시스템을 활용하면 모든 버그의 현황을 쉽게 파악하고 추적할 수 있어요.



10. QA 산출물📁

QA 과정에서 작성되는 각종 문서들을 말합니다.

  1. 테스트 계획서: 어떤 방식으로 테스트를 할지 정리
  2. WBS: 테스트 업무를 작은 단위로 나눈 작업 목록
  3. 테스트 케이스 문서: 케이스별로 정리된 테스트 항목들
  4. 결함 보고서: 발견된 버그 목록
  5. 테스트 차수별 보고서, 진척 현황 보고서, 일일/주간/월간 보고서
  6. 테스트 결과서: 전체 테스트 요약 및 결론 정리

✅ 산출물은 프로젝트 신뢰성과 커뮤니케이션 효율성을 높여줘요.


👉️ [QA 성공사례]외주 개발 실패를 QA검증으로 해결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