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객 후기 - QA파트너스 후기
[QA엔지니어 인터뷰] HW부터 앱까지, 모빌리티 인프라 검증 노하우
QA 리더 김창호님의 경험을 통해, HW·SW 통합 검증이 어떻게 전략적으로 수행됐는지 이야기해보려 합니다. 특히 외주 QA 리더로서 어떻게 ‘단순 테스트’를 넘어 ‘품질을 설계’했는지, 실제 수행 성공 사례를 들어보겠습니다.
A: 안녕하세요, 저는 QA 아웃소싱 업계에서 QA 엔지니어로 근무 중인 김창호 책임 리더입니다.
A. 모빌리티 플랫폼 관련 프로젝트였어요. 하드웨어(HW)와 소프트웨어(SW)가 맞물리는 복합 검증 환경을 진행했어요. 사용자 앱, 운영 플랫폼, 단말기 기기(HW)까지 모두 검증 대상이었고, 각기 다른 제조사, 플랫폼 운영사, 사용자 관점까지 고려해야 하는 상황이었어요. 안전성, 성능, 보안은 물론 시스템 간 호환성과 연동성 확보까지 필요한 상황이었고, 관련 산업에 대한 정책 및 규제까지 고려해야 했어요. 결국 이 프로젝트는 ‘테스트’가 아니라 ‘전략’이 필요한 프로젝트였습니다.
A. 이미 리뉴얼 된 앱과 플랫폼은 이미 개발이 완료된 상태였고, 하드웨어 제품의 납품 일정과 앱 출시 일정이 겹쳤습니다. 검증은 빠르게 해야 하는데, 고객사의 내부 QA 인력은 기존 서비스 운영으로도 벅찬 상황이었어요. 여기에 Android/iOS OS 버전별 호환성, 충전 흐름, 결제, 쿠폰 등 다양한 사용 시나리오에 대한 반복 검증까지... 단일 QA 인력으로는 감당하기 어려운 전방위 검증이 필요했습니다. 결국 저희 팀이 투입됐어요.
A. 단순하게 테스트 인력 투입이 되는 것이 아니라, QA PM 1명+QA 엔지니어 2명의 인력으로 전문적인 QA 전략을 수립하고 실행하는 역할을 맡았습니다.
고객사는 단기적 안정성도 중요했지만, 앞으로 확장 가능한 검증 구조를 원했어요. 그래서 외주 인력이 빠져도 ‘앞으로도 지속 운영 가능한 구조’를 만들고자 했습니다.
A. 총 6가지 영역에서 집중적으로 검증했어요.
테스트 항목 주요 내용
기능 테스트 회원가입, 충전, 결제, 쿠폰 등 사용자 시나리오별 기반
UI/UX 테스트 리뉴얼 된 UI의 사용 흐름 확인, 디바이스별 대응
호환성 테스트 AOS/iOS 10종 이상 환경 구성 및 특정 OS 디바이스 이슈 대응
HW 연동 테스트 충전기 기기와 플랫폼 간 연동, 펌웨어 동작, 사용성 평가
사용성 테스트 APP, 충전기 사용자 편의성, UX 검증
예외 처리 테스트 실패 시나리오(충전 실패, 결제 오류 등) 정밀 테스트
단순히 기능이 되는지 보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 관점에서 실제 흐름을 검증하고 예외를 설계하는 일이 가장 중요했습니다.
1. QA 전략 수립
2. 테스트 케이스 설계·수행
3. 결함 리포트 및 실시간 협업
4. 릴리즈 전 회귀 테스트
A. 고객사의 주요 앱은 출시 전 핵심 오류를 조기에 발견하면서 출시 리스크를 20% 이상 줄였고, 출시 후에는 누적 다운로드 10,000건 이상을 기록하며 안정적으로 시장에 안착했습니다. 또한 사용자 VOC 기반으로 UI 개선이 되었으며, 앱스토어 평점이 기존 1.9에서 2.5 이상으로 개선되었습니다. 하드웨어 측면에서도, 충전기 납품 전 사전 검증을 통해 오류율을 크게 줄여, 설치 이후 현장에서 발생하는 사용자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었습니다.
👉[QA 엔지니어 인터뷰 시리즈| 뉴스 테크 ] 편이 업로드 예정입니다!
복잡한 시스템일수록, 일정이 촉박할수록, QA는 전략적으로 접근해야 합니다.
큐밋은 다양한 도메인의 QA 전문가와 함께, 각 산업에 특화된 인력과 프로세스를 제공합니다.
📮 우리 프로젝트에도 전문 QA가 필요하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