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객 후기 - QA파트너스 후기
[구축사례] 노코드 QA 자동화 구축, A사의 실전 도입기 2편
👉 1편 보러 가기
A. 기존 QA팀은 반복 테스트 업무에 대한 자동화가 필요하다는 내부 공감대가 형성되었고, 어떤 방식으로 시작해야 할지 막막한 가운데 저희 큐밋에 솔루션 도입을 요청하셨어요. 또 다양한 업체에서 제공하는 제안서와 견적을 비교하기 어렵다는 고객사의 고민이 있었어요.
A. 고객사의 니즈를 정리한 뒤, 노코드 기반으로 활용 가능한 솔루션 중 AppTest.AI와 Katalon을 제안했습니다. 각 솔루션 업체 담당자와 고객사 사이에서 일정 조율하여, 오프라인 브리핑을 진행했습니다. 오전에는 AppTest.AI, 오후에는 Katalon을 진행했고, 각 솔루션 담당자와 함께 제가(큐밋) 직접 참석해 기능 차이와 적용 방식 이외에도 고객사가 궁금하실 만한 질문들을 함께 이야기 하였습니다. 브리핑을 성공적으로 마치고 난 후, 큐밋에서 표준화 된 양식으로 제안서를 정리해 드렸습니다. 가격, 구축 일정, 기술 지원 범위, 제공 서비스 등 핵심 항목을 한 눈에 볼 수 있도록 구성했죠.
주요 정리 항목 설명
연간 가격 & 유지비용 구독형/라이선스 방식별 정리
구축 일정 초기 설치~테스트 시작까지 소요 기간
기술 지원 범위 유지보수 포함 여부, 응답 SLA
제공 서비스 CI/CD 연동, 리포트 자동화 등
인력 구성안 필요 시 자동화 QA 엔지니어 포함
A. 물론입니다. QA 자동화는 단순 설치가 아니라 실제 환경에서의 잘 적용 되는지 확인해야 하거든요. 그래서 큐밋에서는 고객사의 테스트 환경에 맞춘 [POC 가이드 라인]을 작성해 각 솔루션사에 제공했고, 약 1~2주간의 검증을 통해 반복 테스트 성능, 리포트 자동화, CI/CD 연동 여부 등을 종합적으로 확인했습니다. 큐밋이 전체 일정을 조율하고 각 항목의 수행 결과를 정리해 고객사에 전달했습니다.
A. 고객사는 POC 결과를 바탕으로 한 곳으로 자동화 솔루션을 선택하고 계약까지 완료했습니다. (보안의 이슈로 선정된 솔루션은 비공개합니다.)
솔루션 선정 후, 다음 단계부터도 꼼꼼히 지원을 이어갔습니다.
큐밋 매니저가 기술 제안 및 커뮤니케이션 창구가 되어, 고객사는 큐밋 매니저 한 명과의 소통 만으로 모든 절차를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었어요.
A. A사 PM분께서는 “QA 자동화 도입에 엄두가 나지 않았는데, POC까지 단계별로 가이드를 받으니까, 내부 리소스를 최소화 하면서 QA 자동화 체계를 구축 할 수 있었던 점이 가장 만족스러웠습니다.”고 피드백 주셨어요.
A. 개발 언어 없이 UI 기반으로 테스트를 구성할 수 있는 자동화 방식으로, 비개발자 QA팀도 활용 가능합니다.
A. 실사용 환경에서의 적합성을 확인할 수 있어, 실패 없는 도입을 위해 필수적인 단계입니다.
A. 큐밋은 솔루션 추천뿐 아니라 QA 엔지니어 매칭까지 포함한 전 과정을 지원합니다.
A사의 사례를 보면, QA 자동화 도입은 복잡하지만 체계적인 접근과 전문가의 가이드가 있다면 훨씬 수월해질 수 있습니다. 특히 노코드 기반 솔루션과 POC 단계를 통해 자신에게 맞는 솔루션을 직접 확인해볼 수 있는 점은 매우 중요한 포인트입니다. 자동화를 고려 중이라면, 혼자 고민하지 마세요.
👉 [이전 편: 구축사례] 노코드 QA 자동화 구축, A사의 실전 도입기 1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