큐밋 인사이트 - QA 아웃소싱

프로젝트 성공의 핵심은 단순한 개발이 아닌, 탄탄한 품질 보증(QA)에 있습니다. 그러나 테스트 인력 구성이 엉망이면 테스트 효율은 물론 품질 리스크까지 높아질 수밖에 없죠. 오늘은 글로벌 기준인 ISTQB 등급 체계와 국내 실무에서 통용되는 QA 엔지니어 등급 구분 방식을 정리하고, 프로젝트 상황별 최적의 인력 구성 전략까지 소개해드려요.
ISTQB 국제 자격 체계에서는 Foundation Level – Advanced Level – Expert Level의 3단계로 테스터 역량을 구분합니다.
💼 다수의 글로벌 기업이 이 체계를 활용하여 QA 채용 기준과 팀 내 역할 구분에 활용 중입니다.
한국의 QA 실무에서는 경력과 역할에 따라 초급 - 중급 - 고급/특급(이하 고·특급)의 3단계로 구분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특히 아웃소싱 계약 시 단가 산정과 역할 배분 기준으로 활용됩니다. 현재는 직무와 역량 위주로 인력 구성을 하는 추세지만, 여전히 현업에서는 초급, 중급, 고·특급 등의 용어로 엔지니어의 숙련도를 구분하는 것이 흔합니다.
구분 | 등급 | 경력 | 업무범위 | 세부 업무 스킬 |
Test Leader 그룹 | 고·특급 | 9년이상 | 기능테스트, 호환성테스트, 성능테스트, 자동화테스트, API 테스트 | 테스트 일정계획 수립, 기획/요구사항 분석, TC 작성, Test 수행, 이슈 등록, 결과물 취합 및 보고, 프로젝트 히스토리 관리, 유관부서 커뮤니케이션, 인력관리 |
Test Sub Leader 그룹 | 중급 | 6~9년 | 기능테스트, 호환성테스트, 성능테스트, 자동화테스트, API 테스트 | TL 보조 역할(업무분담, 산출물 리뷰), 기획/요구사항 분석, TC 작성, Test 수행, 이슈 등록, 결과물 취합 및 보고, 프로젝트 히스토리 관리, 유관부서 커뮤니케이션 |
Test Engineer 그룹 | 초급 | 0~6년 | 기능테스트, 호환성테스트, API 테스트 | 기획/요구사항 분석, TC 작성, Test 수행, 이슈 등록, 결과물 전달 및 보고 |
*주의: 회사마다 등급별 경력의 기준 및 비용의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해주세요!
효율적인 QA 팀 구성이 곧 프로젝트 품질을 결정합니다. 무조건 고급 인력만 투입하는 것보다, 프로젝트 특성과 예산에 따라 초급-중급-고·특급을 적절히 조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전략입니다.
초급 100% 투입 또는 중급 1명 + 다수의 초급 엔지니어 조합.
초급 엔지니어만으로도 테스트 수행은 가능하나, 한 명의 중급 엔지니어가 리딩하면서 테스트 계획 수립과 이슈 대응을 도와주면 효율이 높아집니다. 이 구성은 테스트 케이스가 명확하고 복잡한 기술 검증보다는 단순 기능상의 결함 발견이 주목적인 경우에 적합합니다. 예를 들어 콘텐츠 검수나 단순 앱 기능 테스트는 초급 인력으로도 충분하며, 필요시 중급 엔지니어가 최종 품질만 점검하면 됩니다.
중급(약 60%) + 초급(약 40%) 구성.
시스템 복잡도가 중간 수준이고 테스트 자동화를 부분적으로 도입하려는 경우에 유용한 조합입니다. 중급 엔지니어들이 핵심 기능에 대한 테스트 시나리오 작성과 자동화 스크립트 구현을 맡고, 초급 엔지니어는 중급의 지도 아래 수동 테스트 및 회귀 검증을 도와줍니다. 이렇게 하면 자동화를 통해 효율을 높이면서도, 사람에 의한 탐색적 테스트도 확보할 수 있어 균형 잡힌 품질 보증이 가능합니다.
고/특급 1명 + 중급과 초급 혼합 구성.
제품 출시 전 전사적인 품질 전략을 수립해야 하거나, 대규모 프로젝트의 경우 권장되는 형태입니다. 고·특급 엔지니어는 품질 목표 설정과 전체 프로세스 관리에 집중하고, 중급 엔지니어는 핵심 기술 영역의 테스트를 리드하거나 난이도 높은 결함을 해결합니다. 중급과 초급은 각각 모듈별 테스트와 대량의 테스트 케이스 실행을 담당하여, 전략 수립부터 실무 실행까지 빈틈없이 커버할 수 있습니다. 이 조합은 금융/의료처럼 품질 기준이 매우 높은 도메인이나 장기간에 걸쳐 여러 단계로 나뉘는 프로젝트에서 효과적입니다.
👉🏻 [QA 성공사례] 은행 차세대 QA 프로젝트, 10명의 엔지니어 투입
A. 테스트 범위가 단순하고 시나리오가 명확하다면 가능합니다. 단, 중급 엔지니어가 최소 1명 이상 리딩해야 효율이 올라갑니다.
A. 중급 이상 엔지니어가 필요합니다. 자동화 도구 경험과 스크립트 작성 능력이 요구되며, 초급 인력은 보조 테스트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A. 테스트 계획부터 일정, 이슈 관리까지 전체 테스트 흐름을 주도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고급/특급 엔지니어의 경험과 리딩 역량이 필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