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큐밋 인사이트 - 기술 Blog

[링크] 소프트웨어 테스트 수명 주기(STLC) 완벽 가이드

2025.08.21

1. 소프트웨어 테스트 수명 주기란?

소프트웨어 테스트 수명 주기(Software Testing Life Cycle, STLC)는 소프트웨어가 출시되기 전에 테스트 과정을 체계적으로 수행하는 절차를 의미합니다. 즉, 단순히 오류를 찾는 단계를 넘어, 소프트웨어 품질을 보장하기 위한 일련의 활동이에요. 💻 STLC는 기획 단계부터 종료까지 일정한 단계를 거치며, 각 단계마다 명확한 산출물과 목표가 존재합니다. 덕분에 테스트 과정이 체계적으로 진행되고, 품질 향상과 리스크 최소화에 크게 기여합니다.


2. STLC의 중요성 🌟

"테스트는 그냥 개발 끝나고 해도 되지 않나?"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사실 STLC는 단순한 테스트 절차가 아닌, 프로젝트 성공을 위한 중요한 프로세스 입니다!

  1. 품질 보증: 결함을 조기에 발견하고 수정할 수 있어 유지 보수 비용 절감
  2. 리스크 관리: 출시 전 문제를 최대한 줄여 사용자 경험 개선
  3. 명확한 절차: 테스트 프로세스를 표준화하여 혼란을 줄임
  4. 효율적인 협업: 개발자, QA, 프로젝트 매니저 간 원활한 협업 가능



3. SDLC와 STLC 비교 🧐


STLC (소프트웨어 테스팅 수명 주기)

SDLC (소프트웨어 개발 수명 주기)

정의

소프트웨어 품질을 검증하기 위한 구조화된 테스트 단계 시퀀스

소프트웨어를 설계, 개발, 배포 및 유지 관리하는 전체 프로세스

초점

소프트웨어가 요구 사항을 충족하는지 검증 및 검증

처음부터 끝까지 완전한 소프트웨어 제품 제공

단계

요구 사항 분석, 테스트 계획, 테스트 케이스 설계, 환경 설정, 테스트 실행, 테스트 종료

요구 사항 수집, 설계, 개발, 테스트, 배포, 유지 관리

진입점

소프트웨어 요구 사항이 정의된 후 시작

새로운 소프트웨어에 대한 비즈니스 요구 사항이나 아이디어로 시작

종료 지점

최종 테스트 후 테스트 종료 및 승인으로 종료

소프트웨어 사용 중지 또는 전환으로 종료

이해관계자

테스터, QA 리드, 자동화 엔지니어

개발자, 디자이너, 제품 소유자, QA, DevOps

결과물

테스트 계획, 테스트 사례, 테스트 스크립트, 버그 보고서, 테스트 요약

SRS, 디자인 문서, 소스 코드, 배포 계획, 사용자 매뉴얼

품질에서의 역할

소프트웨어가 기능적으로 올바르고 기능적으로 올바른지 확인

테스트를 한 단계로 통합하여 소프트웨어 제품 구축

사용 도구

TestRail, Selenium, JIRA, Postman, TestNG, Cypress

JIRA, Git, Jenkins, IDE, Docker, Kubernetes, SonarQube


👉 쉽게 말해, SDLC는 제품을 만드는 과정, STLC는 그 제품이 제대로 동작하는지 확인하는 과정이라고 이해하면 됩니다.


4. STLC 6단계 및 각 단계 설명 📝

📌 STLC 단계 구분

  1. Katalon: 6단계, TestRail: 6단계, Magnitia: 8단계

즉, 툴마다 세부 용어와 단계 수는 조금씩 다르지만, 핵심 프로세스는 거의 동일합니다. 👍


👉 [ 관련 글 ] 앱 품질을 위한 SW 검증 노하우_엔지니어 인터뷰


1) 요구사항 분석 (Requirement Analysis)

  1. 소프트웨어 요구사항을 이해하고, 테스트 가능한 요소를 식별하는 단계
  2. QA 팀은 기능적/비기능적 요구사항을 분석하며, 결함이 있을 수 있는 영역을 미리 파악

2) 테스트 계획 수립 (Test Planning)

  1. 전체 테스트 전략을 세우는 단계로, 범위, 목표, 일정, 자원 배분 등을 정의
  2. 프로젝트 예산과 리스크 관리도 이때 포함

3) 테스트 케이스 설계 (Test Case Development)

  1. 실제 테스트 시나리오와 케이스를 작성하는 단계
  2. 입력값, 예상 결과, 실행 절차 등을 문서화하여 재현성과 효율성을 확보

4) 테스트 환경 구축 (Test Environment Setup)

  1. 실제 실행할 환경(서버, 네트워크,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등)을 준비
  2. 환경 안정성이 확보되지 않으면 테스트 자체가 무의미

5) 테스트 실행 (Test Execution)

  1. 작성된 테스트 케이스를 기반으로 테스트를 진행하는 단계
  2. 실제 결과와 예상 결과를 비교하여 결함을 보고

6) 테스트 종료 및 평가 (Test Closure)

  1. 전체 테스트 활동을 평가하고, 산출물(테스트 보고서, 결함 분석, 개선점 등)을 문서화
  2. 향후 프로젝트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식 자산으로 축적



5. 자주 묻는 질문(FAQ) 🙋

Q1. STLC와 SDLC는 동시에 진행되나요?

A. 네, 맞습니다. STLC는 SDLC의 각 단계와 밀접하게 연계되어 병행되며, 소프트웨어 개발 진행 상황에 따라 유기적으로 테스트 활동이 조정됩니다.

Q2. STLC는 꼭 모든 단계가 필요할까요?

A. 프로젝트 성격에 따라 일부 단계가 축소되거나 생략될 수 있지만, 핵심 프로세스는 반드시 포함되어야 합니다.

Q3. 자동화 테스트도 STLC에 포함되나요?

A. 물론이죠. 최근에는 Selenium, Katalon 등 자동화 툴을 활용해 테스트 효율을 크게 높이고 있습니다.



원문 링크 모음

🔗 Katalon: 소프트웨어 테스팅 수명 주기: 전체 가이드

🔗 TestRail: 소프트웨어 테스팅 수명 주기(STLC):테스트 최적화를 위한 모범사례

🔗 Magnitia: 테스트 수명 주기는 무엇입니까?


👉 [관련 글] QA 아웃소싱 용어 10가지 정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