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큐밋 인사이트 - QA 아웃소싱

QA의 시작, 공수산정 어떻게 해요?

2025.08.19

QA의 시작, 공수산정 어떻게 해요?

품질보증(QA) 아웃소싱을 고려할 때 가장 먼저 필요한 부분이 바로 공수산정입니다. 공수산정은 QA 아웃소싱 프로젝트의 비용, 일정, 인력을 계획하는 데 핵심 역할을 합니다. 그렇다면 QA 아웃소싱에서 공수산정은 어떻게 진행되며, 어떤 내용이 포함될까요?



🔍 공수산정이란?

공수산정이란 특정 작업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비용과 완료 시간을 추정하고, 수행에 필요한 인력과 시간을 예측하는 과정입니다. 여기서 '공수'란 작업자가 하루 동안 일할 수 있는 양을 의미하며 계산된 공수는 MD(Man-Day) 또는 MM(Man-Month) 단위로 표현됩니다. 아웃소싱 현업에서는 문서화된 자료(기획서, 화면 설계서, 피그마 등)와 테스트케이스(TC)개수 추정(estimation)에 기반해 공수를 산정하며, 이는 작업 계획 수립 전 필수적인 예측 단계입니다.



👉🏻 1:1 공수산정 문의하기(홈페이지 하단 말풍선 클릭)


🛠️ QA 아웃소싱 공수산정 방법

1. 요구사항 분석 및 테스트 범위 파악

요구사항 명세를 기반으로 테스트 유형과 테스트 범위에 대한 파악을 합니다. 필요한 테스트 유형이나 테스트 범위가 넓으면 이에 비례하여 공수가 많이 들어갈 수 있습니다.

  1. 요구사항 명세 (기획서, 화면 설계서, 피그마 등)
  2. 테스트 유형 (기능 테스트, 호환성 테스트, 성능 테스트, 회귀 테스트 등)
  3. 테스트 대상 플랫폼 (웹, 모바일, 백오피스, 백엔드 등)
  4. 테스트 수행 환경 (웹, 모바일 브라우저 종류 및 버전, 모바일 디바이스 종류, 해상도, OS 등)
  5. 추가 고려사항 (자동화 테스트 여부, 테스트 환경 구축, 테스트 엔지니어 교육 등)



2. 테스트 케이스 산정

앞서 파악된 요구사항 명세와 테스트 범위를 바탕으로 테스트 설계 공수를 산정합니다.


✅ 테스트 케이스의 산정 기준

📌테스트 베이시스(Test Basis)가 있는 경우

  1. 해당 요구사항 명세(기획서, 화면 설계서, 피그마 등) 문서를 참조하여 테스트 케이스 개수를 추정합니다.
  2. 요구사항에 대한 파악이 용이하여 공수 산정을 위한 분석 시간이 줄어듭니다.

📌 테스트 베이시스(Test Basis)가 없는 경우

  1. 개발 되었거나 운영 중인 서비스나 화면(웹, 앱 등)을 분석하여 테스트 케이스 추정합니다.


✅ 테스트 케이스의 개수 추정 방식

  1. 테스트 대상을 기능 단위로 분해가 가능하여 추정치를 적용하는 경우

(예시) 최소 기능 단위까지 분해한 테스트 대상별로 기능 동작, 주요 명세기반 기법(등가 분할, 경계 값), 예외 사항까지 고려한 추정치 개수의 합산

  1. 화면별 난이도 및 복잡도로 구분한 추정치로 적용하는 경우

(예시) 화면 A = 5개, 화면 B =7개, 화면C =10개

테스트 케이스 개수 = 난이도나 복잡도 적용한 화면별 추정치 개수의 합산

  1. 화면 공통으로 테스트 케이스의 평균 추정치로 적용하는 경우

(예시) 테스트 케이스 개수 = 화면 본 수 x 평균 추정치 개수


✅ 주의 사항

  1. 케이스를 산정하는 사람에 따라 그 편차 존재하여, 도메인에 따라 경험이 많은 전문가가 공수산정을 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2. 고객사의 테스트 케이스 산정기준이 있는 경우도 있고, 테스트 시나리오 기반으로 테스트 케이스를 잡는 경우가 있어요.
  3. 케이스 수를 과소평가시에는 실제 수행시 리소스 부족, 과대평가하면 프로젝트 일정과 공수가 과도하게 산정할 수 있어 중요도나 우선순위를 고려하여 검토합니다.


💡[큐밋 Tip]

큐밋에서는 1명 이상이 테스트 케이스를 산정해 비교하고, 실제 케이스 수를 트래킹해서 정확도를 높이고 있습니다. PERT(Program Evaluation and Review Technique) 기법을 활용하여 정확도가 높은 예측을 진행합니다.



3. 테스트 설계 공수 산정

  1. 하루에 QA 1명이 작성할 수 있는 케이스 개수를 80개로 가정
  2. 도메인 난이도나 기능의 복잡성 등을 고려하여 테스트 케이스 설계 기준 개수 조정
  3. 예시

➡️예상 테스트 케이스 총 개수 : 3,000개

➡️테스트 설계 공수 = 예상 테스트 케이스 총 개수 / 테스트 케이스 작성 개수 기준

➡︎ 3,000 / 80 = 38 MD ← 1명이 38일 동안 작업이 필요한 공수

➡︎ ( (3,000 / 80) / 20일 ) = 1.9 MM ← 참고로 MM 단위의 기준


✅ 테스트케이스 설계 공수산정

테스트 대상

비관치(TC 개수)

낙관치(TC 개수)

가능치(TC 개수)

예측치(TC 개수)

로그인/회원가입

180

130

160

158

상품검색/조회

300

250

280

278

상품구매/결제

350

300

330

328

상품 주문내역 조회

290

240

270

268

상품 주문취소/환불

170

120

150

148

회원정보/배송지관리

160

110

140

138

공수(MD)

18 MD

14 MD

17 MD

16 MD

  1. 공수 추정시 PERT(3점 추정)을 적용: 예측치=((낙관치+4*가능치)+비관치)/6)
  2. 테스트 케이스 작성 개수 기준 하루에 한 사람이 80개 작성을 가정 함



4. 테스트 수행 공수 산정(예시)

  1. 하루에 QA 1명이 수행할 수 있는 케이스 개수 100개로 가정 (단순 수행 기준)
  2. 난이도가 높은 경우, 테스트 환경에 따라 테스트 수행 5개도 못하는 경우도 존재


  1. 예시: 수행 환경(브라우저, 디바이스 1개의 경우)

➡️예상 테스트 케이스 총 개수 : 3,000개

➡️테스트 수행 공수 = 예상 테스트 케이스 총 개수 / 테스트 케이스 수행 개수 기준

➡︎ 3,000 / 100 = 30 MD ← 1명이 30일 동안 작업이 필요한 공수

➡︎ ( (3,000 / 100) / 20일 ) = 1.5 MM ← 참고로 MM 단위의 기준

➡︎ 테스트 수행 환경이 2개 이상(n개)인 경우에는 해당되는 개수 만큼의 합산이 필요합니다.


  1. 예시: 수행환경(브라우저, 디바이스 각 2종 경우)

➡️테스트 케이스 수행 개수 기준 : 하루에 한 사람이 100개 수행을 가정함

➡️예상 테스트 케이스 총 개수 : 3,000개

➡️테스트 수행 환경 : 브라우저 2종(Chrome, Edge), 모바일 디바이스 2종(Android, iOS)

➡️테스트 수행 공수 = ( (예상 테스트 케이스 총 개수) x (테스트 수행 환경) ) / (테스트 케이스 수행 개수 기준)

➡︎ (3,000 * 4) / 100 = 120 MD(6MM)


✅ 구분별 공수산정

구분

공수

기획서 리뷰

1 MD

테스트 환경 셋업

1 MD

테스트 케이스 설계

16 MD

테스트 케이스 리뷰/보완

1 MD

테스트 케이스 수행

13 MD

회귀 테스트

2 MD

테스트 결과 리포트

1 MD

  1. 테스트케이스 수행 개수 기준:하루에 한 사람이 100개 수행을 가정함
  2. 구분 항목은 예시로 프로젝트에 따라 추가/제외 될 수 있음


📌 추가 공수 산정

호환성 테스트 범위에 따라 추가적인 공수를 산정할 필요가 있습니다. 호환성 테스트의 경우, 주요기능과 UI/UX 이상 유무에 대한 검증을 하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Full Test 대비 30% 정도의 공수를 반영합니다.



5. 결함 리포트, 재검증 및 테스트 관리

테스트 수행 기간에 검출된 버그에 대한 이슈 리포트 작성, 개발자 수정 후의 재검증(확인 테스트), 커뮤니케이션 시간도 포함이 필요합니다.

  1. 평균적으로 하루 공수의 10~20%는 해당 작업에 소요될 수 있습니다.(예시: 테스트 중 발견된 버그 수정 후 재확인 → 관련 기능 테스트 재수행 필요)
  2. 예기치 못한 일정 지연 등에 대비한 10~15% 버퍼 공수 확보



5. 추가 고려사항 검토

자동화 테스트, 테스트 환경 구축, 테스트 엔지니어 교육 여부 등 이러한 사항이 있다면 별도 공수로 산정하고 일정에 포함해야 합니다.



6. 리소스 및 테스트 기간 고려

테스트 설계와 수행 공수 기준으로 인원 수와 소요 일수 및 일정을 예측합니다.


  1. 예시

➡️테스트 케이스 작성 개수 기준 : 하루에 한 사람이 80개 작성을 가정함

➡️테스트 케이스 수행 개수 기준 : 하루에 한 사람이 100개 수행을 가정함

➡️예상 테스트 케이스 총 개수 : 3,000개

➡️테스트 수행 환경 : 브라우저 2종(Chrome, Edge), 모바일 디바이스 2종(Android, iOS)

➡️테스트 설계 공수 = (예상 테스트 케이스 총 개수) / (테스트 케이스 작성 개수 기준)

➡︎ 3,000 / 80 = 38 MD(1.9 MM)

➡︎ 2명 투입 시 19 MD, 3명 투입 시 13 MD

➡︎ 테스트 수행 공수 = ( (예상 테스트 케이스 총 개수) x (테스트 수행 환경) ) / (테스트 케이스 수행 개수 기준)

➡︎ (3,000 * 4) / 100 = 120 MD(6MM)

➡︎ 2명 투입 시 60 MD(3MM), 3명 투입 시 40 MD(2MM)


✅ 테스트 일정

구분

1주차

2주차

3주차

4주차

5주차

6주차

7주차

기획서 리뷰

✔️







테스트 환경 셋업

✔️







테스트케이스 설계

✔️

✔️

✔️





테스트케이스 리뷰/보완



✔️





테스트케이스 수행




✔️

✔️

✔️


회귀 테스트







✔️

테스트 결과 리포트







✔️

  1. 테스트 일정 내 표시는 예시 화면 임



자주 묻는 질문

Q1. 공수산정을 너무 넉넉하게 하면 문제가 될까요?

A. 과도한 공수는 예산 낭비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합리적인 수준에서 산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다만, 너무 과소평가된 공수는 실제 테스트 진행에 차질이 발생될 수도 있으므로 이점도 고려하여야 합니다.


Q2. 공수산정 도중 변경이 생기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A. 변경 사항은 즉시 공유하고, 공수 재산정이 필요합니다. 추후 프로젝트 진행 시 리소스 부족이나 변경사항 대응에 따른 일정 지연이 불가피하게 발생할 수도 있으므로 협의된 기준으로 문서화해 두는 것을 권장합니다.


Q3. QA 쓸 수 있는 비용이 제한적이예요, 그래도 진행해야 할까요?

A. 필수적으로 필요한 QA는 진행하시는 것을 추천드려요. 서비스/제품 런칭을 위하여 필수적이고 기본적인 사항은 꼭 진행하고, 추후 고도화나 개선 작업 시 연장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프로젝트 전체 범위에 대한 QA 수행을 요청할 비용이나 기간이 제한적인 상황이라면 테스트 대상에 대한 리스크 분석을 통한 우선순위를 식별하여 필수적인 테스트 수행 범위와 수행 환경(브라우저, 디바이스)을 조정하여 요청하는 것도 한 가지 방법입니다. 또한 테스트 케이스 설계에 들어가는 비용이나 시간이 부족한 경우라면 체크 리스트에 기반하여 해당 업무 도메인에 경험이 많고 숙련된 QA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진행한다면, 제한된 리소스 내에서 비용과 시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QA 수행을 할 수 있습니다.


⚠️QA 회사마다 개인마다 공수 산정을 하는 기준이나 방식이 다를 수 있습니다.


👉🏻 비교 견적 의뢰하기